홍콩 시민들이 `범죄인 인도법안` 상정을 앞두고 9일 이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이날 홍콩 시내에는 수많은 시민이 쏟아져 나와 범죄인 인도법에 반대하는 구호를 외치며 정부 청사까지 가두행진을 했는데, 최근 몇 년래 최대 규모이다.
현재 홍콩 정부는 중국을 포함해 타이완, 마카오 등 범죄인 인도 조약을 체결하지 않은 나라나 지역에도사안에 따라 범죄인들을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범죄인 인도법안'의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이 법안은 오는 12일 홍콩 입법위원회에 상정될 예정. 홍콩 야당과 시민단체는 중국 정부가 반체제 인사나 인권운동가를 중국 본토로 송환하는 데 이 법을 악용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주최 측은 당초 50만 명을 목표로 삼고 시위를 준비했는데 예상보다 훨씬 뜨거운 참여 열기를 보이며 시위 참가자가 100만 명은 넘는 것으로 주최 측은 보고 있다.
시위대는 이날 낮부터 밤까지 '범죄인 인도법' 반대 구호를 외쳤으며, 많은 시위자가 홍콩 우산혁명의 상징인 노란색 우산을 들고 시위에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한 시위 참가자는 범죄인 인도 법안이 통과된다면 홍콩의 민주주의와 표현의 자유는 큰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날 시위 참가자들과 경찰 사이에 여러 차례 충돌이 있었다. 시위대 일부는 설치된 간이 울타리를 던지며 홍콩의 입법회 건물에 들어가려고 시도했고, 경찰은 경찰봉과 최루가스를 사용하며 막아나섰다. 이 과정에서 일부는 다치기도 했다.
지난 1997년 영국으로부터 중국에 반환된 후 홍콩은 오는 2047년까지 일국양제의 원칙에 따라 독립적인 사법권을 갖고 있다. 하지만최근 중국 정부가 홍콩의 자치권을 침범하는 사례들이 늘면서 중국 정부에 대한 반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홍콩의 수반격인 행정장관은 중국 정부가 임명하는데, 지난 2017년 캐리 람 행정장관이 들어서면서 급격한 친중국 행보를 걷고 있다. 이에 따라 홍콩에서는 최근 몇 년 새 행정장관 직선제를 요구하는 등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캐리 람 행정장관은 10일 기자 회견을 갖고 '범죄인 인도 법안'은 홍콩의 정의를 지탱하고 홍콩이 다른 나라나 지역과 함께 범죄에 맞서 싸워야 하는 국제적 의무를 다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라고 강조하면서 법안을 강행할 뜻을 밝혔다.
이메일 문의: sscnkr@gmail.com
Copyright (c) since 2010 시사중국.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