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18일 정부 청사에서 공식 기자회견을 갖고, 범죄인 인도법 추진과 관련해 공식 사과했다.
람 장관은 또 최근 연기하겠다고 발표한 범죄인 인도법도 다시 추진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람 장관은 3일 전 기자회견에서는 범죄인 인도법안 심의를 연기하되 철회하지는 않겠다고 못 박았다. 하지만 홍콩 시민들이 다음 날 법안 완전 철회를 요구하며 다시 대규모 시위를 벌이자 결국 한 발 더 물러섰다.
람 장관은 이번 기자회견에서 범죄인 인도법과 관련해 잘못 대처했다며 모든 홍콩 시민에게 진심으로 사과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또한 수십만 홍콩 시민들이 평화 시위를 통해 자신과 홍콩 정부를 향한 실망과 불만의 목소리를 낸 후 반성의 시간을 가졌다면서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는 사퇴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람 장관은 홍콩 시민들의 퇴진 요구에 대해 "홍콩 경제와 사회 신뢰를 발전시키기 위해 남은 임기인 3년간 해야 할 일을 하겠다. 더 좋은 기회를 갖고 싶다”고 말해 퇴진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법안 처리에 대해서는 지난 몇 달간 문제 됐던 의견 차이를 잘 알고 있다면서, 사실상 폐기 수순을 밟게 될 거라고 말했다. 완전 철회를 약속하지는 않았지만 현재 입법회 의원들의 임기가 내년 7월에 끝나기 때문에 법안을 추진하기에는 충분한 시간이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앞서 람 장관이 시위를 폭동이라고 규정해 시위자들의 반발을 더 고조시켰는데, 람 장관은 자신이 직접 언급한 것이 아니라, 언론을 통해 접한 것을 전달했을 뿐이라고 부인했다. 그러면서 홍콩 정부는 시위 참여자들 특히 젊은 학생들을 폭도로 부르거나 여긴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지난 12일 시위에서는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70여 명이 부상을 입었다. 또 주말에는 한 시민이 높은 건물에 올라가 법안 반대를 외치다 추락해 사망하는 사고도 발생했다.
람 장관의 기자회견에 대해 홍콩 시민들은 충분하지 않다는 반응이다. 홍콩의 야권연합은 19일 열리는 입법회에서 람 장관이 이끄는 내각에 대한 불신임안을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는 홍콩 시위자들에 대한 지지를 나타냈다. 모건 오테이거스 국무부 대변인은 17일 "시위대는 홍콩 기본법이 보장하고 있는 언론과 집회의 자유 등을 위해 평화적인 시위를 했다"고 강조했다.
오테이거스 대변인은 미국 정부는 홍콩의 상황을 계속 주시하고 있다면서 홍콩 정부에 시민들의 우려를 해소할 것을 촉구했다.
이메일 문의: sscnkr@gmail.com
Copyright (c) since 2010 시사중국.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