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중국] 지진에 반응하는 신기한 샘물이 중국에 있어 화제다. 이번 일본 도호쿠 대지진 당시에도 이 샘물을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이 신기한 샘물은 중국 광둥성의 룽먼(龍門)현에 위치한다 .3월 11일 일어난 일본 대지진 당시에도 맑았던 샘물이 갑자기 탁해졌다가 수시간 후에 다시 맑아졌다. 그 당시 야채를 씻고 있던 마을 주민 뤄(羅)씨는 샘물이 왜 탁해지는지 이유를 알 수 없었다.
샘물 이름은 ‘선아천(仙鵝泉)’으로 인근 주민들이 생활용수나 농작물 관개용수로 사용한다. 주민들은 옛부터 이 샘물에서 야채나 가재도구 등을 씻어 왔다. 마을 노인도 이 샘물이 처음에 언제 발견됐는지 알지 못했다.
난쿤산(南崑山)의 평원 분지에 위치하는 ‘선아천’은 작은 사각형 모양으로 세로 1.15미터, 폭은 1미터로 되어 있다.
주민들에 따르면, 2004년 12월에 인도양에서 발생한 9급 대지진 당시, 그들은 여느 때처럼 샘물 곁에서 야채를 씻고 있었다. 오전 8시 30분 무렵, 돌연 황색 거품이 샘물에서 분출했으며 대량의 탁한 황색갈 물이 솟아오르기 시작했다. 주민들은 놀라서 곧바로 샘물에서 떠났다. 다음날, 그들은 인도양에서 대지진이 발생해 큰 쓰나미 피해가 있었다는 뉴스를 보았다. 그 후 일주일 후 선아천은 다시 맑아졌다.
2008년 5월에 일어난 중국 쓰촨대지진 당시에도 샘물이 탁해졌다. 인근에 사는 양진둥(楊景東)씨는 지진이 발생한 날 물을 뜨러 샘물에 갔다. 물이 탁해진 것을 발견했지만 아이들이 장난친 것으로 생각했다. 양씨는 그날 밤 뉴스에 쓰촨성에서 대지진이 발생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양씨에 따르면 그 당시 샘물의 색갈은 회백색으로 인도양 대지진 때와는 차이가 났다고 증언했다.
또 1962년에 허위안(河源)시 신펑강(新豊江)댐에서 일어난 6.2급의 ‘댐 지진’이 당시에도 샘은 1주일 정도 탁해진 상태였다고 주민들은 전했다.
이메일 문의: sscnkr@gmail.com
Copyright (c) since 2010 시사중국. All rights reserved.